난독증에 대한 사회적인 이해도가 많이 높아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어려운 개념이다. 흔히 잘못 아는 것이 글을 아예 읽지 못하거나, 글씨를 읽으려 하면 글씨가 둥둥 떠다니고 거꾸로 읽거나, 다른 분야에 뛰어난 재능이 있다거나 하는 것이다. 이렇게 인터넷에 떠도는 난독증에 대한 틀린 정보들이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또 일부 교육집단에서는 난독증이란 ‘읽기소홀’의 결과이므로 원인이 무엇인가와 상관없이 읽기지도만 잘 해주면 해결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학습에서 학교생활에서 난독증으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과 청소년을 돕기 위해서는 난독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개선 방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겸비한 난독증 전문가가 필요하다.




| 난독증 전문가 과정 / 2급(초급)단계 | |||
|---|---|---|---|
| 회차 | 시간 | 강의내용 | 비고 |
| 1회 | 6시간 | 난독증(dyslexia)의 이해 : 정의, 유형, 원인 | 3시간 |
| 청각정보처리과정의 이해 | 3시간 | ||
| 2회 | 6시간 | 난독증척도검사 : 이해, 실습 | 3시간 |
| 난독증척도검사 상담기법 | 3시간 | ||
| 3회 | 6시간 | KOLRA, RA-RCP, 언어검사(REVT,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발음검사. | 3시간 |
| 난독증의 언어적 중재 : 음운인식, 음운해독, 파닉스(음운변동)의 임상적용 | 3시간 | ||
| 4회 | 6시간 | K-WCPM 읽기능력검사 이해 및 실습 | 3시간 |
| 청각어음검사, 주파수변이 선별력검사 이해 및 실습 | 3시간 | ||
| 5회 | 6시간 | 청각처리능력 향상교육프로그램의 이해및 활용 | 3시간 |
| 단계별 읽기유창성지도 활용방법 및 훈련실습 | 3시간 | ||
|
|||
| 난독증 전문가 과정 / 2급(초급)단계 | |||
|---|---|---|---|
| 1회 / 6시간 | |||
| 난독증(dyslexia)의 이해 : 정의, 유형, 원인 (3시간) | |||
| 청각정보처리과정의 이해 (3시간) | |||
| 2회 / 6시간 | |||
| 난독증척도검사 : 이해, 실습 (3시간) | |||
| 난독증척도검사 상담기법 (3시간) | |||
| 3회 / 6시간 | |||
| KOLRA, RA-RCP, 언어검사(REVT,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발음검사 (3시간) | |||
| 난독증의 언어적 중재 : 음운인식, 음운해독, 파닉스(음운변동)의 임상적용 (3시간) | |||
| 4회 / 6시간 | |||
| K-WCPM 읽기능력검사 이해 및 실습 (3시간) | |||
| 청각어음검사, 주파수변이 선별력검사 이해 및 실습 (3시간) | |||
| 5회 / 6시간 | |||
| 청각처리능력 향상교육프로그램의 이해 및 활용 (3시간) | |||
| 단계별 읽기유창성지도 활용방법 및 훈련실습 (3시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