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자료실

난독증에 관한 자료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and Dyslexia1-2 청각처리장애(APD)와 난독증1-2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05.20
조회
4,499회

본문

Areas that are most likely to show performance deficits include temporal sequencing of information (as assessed by pitch pattern and duration pattern tests), auditory figure ground problems (as assessed by speech in noise tests) and interaural asymmetry in competition (as assessed by dichotic listening tests).

가장 많은 수행 부족(결함)이 나타나는 부분은 정보의 시간적 순서(음높이(pitch) 패턴과 지속기간 패턴 검사를 통해 평가된다.)와 음성-주변소음 구별 문제(소음 속에서 말하기 검사를 통해 평가된다.), 양쪽 귀를 통한 소리 정보 수신의 비대칭성(소리의 높이나 세기가 양쪽 귀에 다르게 들리는 청취 검사를 통해 평가된다.)입니다.

 

Other deficits may appear in some dyslexic children, but it is anticipated that in a majority of dyslexic children, these are the primary areas where weaknesses will be found.

일부 난독증 아동들에게서는 다른 부족(결함)들도 나타날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난독증 아동들은 주로 이러한 부분들에서 약점이 발견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It is possible that results will eventually demonstrate that children with different types of dyslexia are more likely to show specific patterns on auditory processing tests, but at this time, no such sub-typing of dyslexia and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has been extensively documented.

이 결과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난독증을 가진 아동들이 청각 처리 검사에서 특정한 패턴을 보인다는 것을 결국 입증할 가능성이 있으나, 이 때, 난독증의 하위 유형과 청각 처리 장애가 광범위하게 문서화된 것은 없습니다.

 

 

For now, the audiologist can focus primarily on these three areas of auditory processing skills and develop a database of results found in children with dyslexia (as well as any other comorbid conditions that are prevalent).

현재로서 청각사는 주로 이러한 청각 처리 기술의 3가지 부분과 난독증(뿐만 아니라, 널리 알려진 동반 증상)을 가진 아동들에게서 발견되는 결과의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데 집중할 수 있습니다.

 

These same categories will be likely for children without reading disorders also. Typically, the diagnosis of dyslexia is not made until children reach the third grade in school. Children who are evaluated for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at ages younger than that will also show similar types of deficits when tested.

이와 같은 범주는 읽기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아이들에게도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난독증 진단은 아이가 3학년에 도달할 때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보다 어린 나이에 청각 처리 장애(APD)로 평가된 아동 역시 평가 시에 유사한 종류의 부족(결함)을 보일 수 있습니다.

 

Eventually, it may be possible to test younger children and predict which ones are likely to have long-term problems as a result of an auditory perceptual deficit and target which ones will become phonologic dyslexics and which ones will become comprehension dyslexics.

결국, 어린 아이들을 검사하고 누가 청지각 부족(결함)의 결과로 장기적인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높은지를 예측하며, 음운 난독증(phonologic dyslexics) 또는 이해 난독증(comprehension dyslexics)으로 발전할 대상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Dr. Deborah Moncrieff

Assistant Professor in the Communication Sciences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Dr. Deborah Moncrieff

코네티컷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과학 학과 조교수

 

Deborah Moncrieff received her Ph.D.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in 1999 in Cognition and Neuroscience. She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Communication Sciences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Deborah Moncrieff199년에 달라스의 텍사스 대학교에서 인지 및 신경 과학 분야의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녀는 코네티컷 대학교의 커뮤니케이션 과학 학과 조교수입니다. She uses several different methodologies to investigate how the brain processes auditory information, including standard clinical behavioral tests of auditory processing, multi-channel electrophysiology,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그녀는 뇌가 청각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조사하기 위해 임상 행동 청각 처리 표준검사와 다중 채널 전기 생리학, 기능적 자기 공명 기록법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법론을 활용합니다. She has examined the prevalence of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in school-age children, especially in those with dyslexia, and is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temporal processing deficits in children diagnosed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그녀는 학령기 아동의 청각 처리 장애(APD) 유병률과 특수언어장애(SLI) 진단을 받은 아동의 시각적 처리 부족(결함)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Across all ages, she is especially interested in how to provide remedial training and intervention when an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has been diagnosed. 그녀는 전 연령대에 걸쳐 청각처리장애(APD)를 진단 받았을 때, 어떠한 교정 훈련과 중재 도구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해 특히 관심이 많습니다. Her long-term goal is to provide deficit-specific training designed to help individuals overcome the processing deficits that interfere with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on. 그녀의 장기 목표는 개인이 의사소통과 이해에 지장을 주는 처리 부족(결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그에 걸맞는 특정 훈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